kdp1226(네이버블로그) 부동산관심있으신분참고하세요.

[2분 학습] 2008년 공인중개사시험대비 부동산학개론 4-08

카디날 2008. 4. 15. 19:54
[2분 학습] 2008년 공인중개사시험대비 부동산학개론 4-08
첨부   파일  
등록일 2008-04-08
 

 

2008년 4월 8일

 

 

 

부동산학개론


부동산을 공간개념으로 인식할 때, 이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? (제13회 기출문제)


 

① 입체공간으로서의 부동산은 법률적 개념, 경제적 개념인 동시에 기술적 개

    념이기도 하다.

② 지하 또는 지상의 공간은 상하의 범위를 정하여 건물 기타 공작물을 소유하

    기 위한 지상권의 목적으로 할 수 있다. 

③ 상부 미이용 공간에 직접 시설을 건축하여 이용함이 부적당한 경우 상부 미

    이용 공간에 상응하는 용적률의 개발권 등을 인근 토지로 양도해서 이용하도

    록 하는 방법을 공중임대차제도라 한다.

④ 공중공간은 주택, 빌딩, 기타 공중을 향하여 연장되는 공간으로서 일정한 높

    이에 한한다.

⑤ 지하공간은 경제적 이용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지표면 하부에 자연적으로

    형성되었거나 인위적으로 조성한 일정 규모의 공간자원으로서, 이 공간자원

    내에 일정 목적의 시설이 첨가된 경우가 지하시설 또는 지하시설공간이다. 

 



부동산학의 학문적 성격에 관한 기술이다. 다음 기술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? (제15회 기출문제)


 

① 부동산학은 부동산과 관련된 의사결정과정을 연구하기 위하여, 부동산의 법

    적 · 경제적 · 기술적 측면의 접근을 시도하는 종합응용 사회과학이다.

② 부동산학이란 부동산활동의 능률화의 원리 및 그 응용기술을 개척하는 종합

    응용과학이다. 

③ 부동산학은 추상적인 학문이 아니라 현실의 부동산활동을 대상으로 하는 구

    체적인 경험과학이다.

④ 부동산학이 추구하는 가치를 민간부문에 한정하여 볼 때는, 효율성 보다는

    형평성을 중시하게 된다.

⑤ 부동산학은 순수과학과는 달리 복잡한 현실적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

    응용과학이다. 

 



정답: ③

 

상부 미이용 공간에 직접 시설을 건축하여 이용함이 부적당한 경우 상부 미이용 공간에 상응하는 용적률의 개발권 등을 인근 토지로 양도해서 이용하도록 하는 방법을 개발권양도제도라 한다.


정답: 

 

민간부문에서는 효율성이 강조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