kdp1226(네이버블로그) 부동산관심있으신분참고하세요.

2분 학습] 2008년 공인중개사시험대비 부동산학개론 3-11

카디날 2008. 3. 11. 16:09
2분 학습] 2008년 공인중개사시험대비 부동산학개론 3-11
첨부   파일  
등록일 2008-03-11
 

 

2008년 3월 11일

 

 

 

부동산학개론


토지 공급의 고정성에서 오는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잘못된 것은?


 

① 토지 공급의 고정성은 시장에서 결정되는 지가의 성격과 역할을 아주 이상

    하게 만든다.

② 토지가 고정되므로 지가와 투기 사이에는 악순환이 가능해지게 하며 토지를

    둘러싼 시장경쟁의 의의가 크게 퇴색된다.

③ 토지 공급의 한정성은 국가 전체 혹은 경계가 정해진 지역 전체뿐만 아니라

    특정 토지용도의 입장에서 본 토지의 특성이다.

④ 개별토지 이용자 입장에서는 토지는 다른 생산요소에 비해서 가격의 변화에

    대응한 공급의 신축성이 상당히 적은 편이다.

⑤ 토지와 결부된 소득은 토지자체의 생산성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, 토지소유

     자의 생산성 때문에 발생한 것은 아니다.

 



부동산의 자연적인 특성 중 인접성 또는 연결성으로부터 파생되는 성격이 아닌 것은? (제7회 기출문제)


 

① 부동산의 용도면에서 대체가능성을 존재하게 한다.

② 특정 토지의 개발과 사용은 인근 토지에 커다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외부경

    제 및 비경제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. 따라서 개발이익의 사회적 환수 이론의

    근거가 된다.

③ 각각의 부동산은 인지와의 협동적 이용을 필연화시킨다.

④ 토지 이용에 있어 협동적 논리 주장의 근거가 되고, 가격 구성에 있어 인접지

    의 영향을 받게 하며 지역 분석을 필연케 한다.

⑤ 소유과 관련하여 경계문제를 불러일으키고 토지에는 생산비의 법칙이 해당

    되지 않게 한다.



 

정답: ③ 

 

공급이 고정된다는 것은 용도입장에서 본 특징은 아니다.


정답: 

 

생산비의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 것은 부증성과 관련이 있다.